[film] 공동경비구역 JSA:”결국 우리는 적이다.”

“중립”의 장소 전후 좌우의 거리가 불과 800m의 공간.눈앞에 있지만 그 너머에는 전혀 다른 세계에서 이쪽으로 향하고 총구를 갖고 있는 동족이 있는 구역이 있다.”국제 조약이나 협약, 협정으로 무장이 금지된 완충 지대를 일컫는 지역.”바로 비무장 지대이다.잘 DMZ(Demilitarized Zone)이라고 부르는 이곳은 한국과 북한 사이에 있는 특수 지역에서 군사 분계선을 중심으로 어느덧 반세기 이상 정전 중 양국이 공동으로 경비하는 구역이다.공동 경비 구역은 원래 남북 관계자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지만, 1976년 8월 18일에 일어난 북한군의 도끼 만행 사건을 계기로 경비병과 초병을 포함한 모든 군인은 군사 분계선(MDL)을 넘어 상대 측 지역에 건널 수 있지 않도록 엄격히 금지했다.양측은 개인적으로 다른 구역의 병사를 만나거나 말을 거는 것도 금지되고 있다.그러나 오랫동안 복무한 한국 병사들은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곳으로 자기의 북한군과 자주 담배와 술을 교환하는 등 접촉했다고.이런 사실은 이념 대립으로 찢어진 양국의 갈등이 사람들의 삶과 정신을 얼마나 피폐할지를 보이고 준 영화<공동 경비 구역 JSA>의 소재가 됐다.

원작 소설 작가 박·쌍용”DMZ”를 바탕으로 제작된<공동 경비 구역 JSA>는 2000년 9월 9일 공개됐지만 여전히 분단 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의 현실을 냉혹하게 묘사한다.공동 경비 구역의 북한 초소에서 총기 난사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서 파견된 중립국 감독 위원회 소속의 스위스 군법 무단의 소피, E·장 소령(이·영애)에서 영화가 시작된다.그녀에게 내려진 명령,”Yourultimate goalistory main perfectly neutral and not to provoke either the Southor the North(당신의 목표는 완전히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한국이나 북한 어느 쪽도 자극해서는 안 된다).”은 중립국 다운 요구이다.그러나 영화는 “남북 간의 비무장 지대에서도 중립은 존재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초반부터 회의적인 태도를 보인다.소피 소령(이·영애)이 총기 사건의 용의자 나, 수혁 병장(이·다)와 대화를 시도하자 선임은 소령에게 “세상에는 2종류의 인간이 있다.빨강, 그리고 빨강의 적.여기에는 중립의 설 자리가 없다.선택이 있을 뿐이다”고 말했다.”적들의 적”이라는 대사가 들리는 짧은 순간, 뭐라고”2마리”를 사살한 영웅으로 찬양 받은 이·수혁 병장의 얼굴이 클로즈 업되는데 이를 부인하게 허공을 응시하는 그의 공허한 눈은 단번에 그가 선임의 단어와는 다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그럼 이·수혁 병장은 “중립”인가?<공동 경비 구역 JSA>는 총기 난사 사건의 진실을 관객이 소피 소령과 동시에 폭로하는 구조로 시간을 역행하고 얘기를 들려준다.영화를 감상한 관객은 이수혁 병장이야말로 북한과 가장 가까우면서도 영화 내의 어떤 등장 인물보다 멀리 달아난 이중적인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수혁(이병헌)은 과연 아기들의 적일까?

2. 상징:인간적 유대감의 박찬욱(박·챠은욱)감독은 “공동 경비 구역 JSA”에 긴장의 뒤에 존재하는 동족 감정을 상징하는 여러 요소를 활용한다.영화 초반에 소피, 짱이 한국과 북한을 차례로 탐문 초소를 돌아보는 장면에서 잠시 큰 개가 지나는 것을 볼 수 있다.이·수혁 병장이 오·부 중령(송·강호)와 정·우진 전사(신·하규은)에 갈대밭에서 처음 만난 계기인 그 강아지가 어느새 자라서 개가 된 것이다.그들의 친분의 기간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이 강아지는 국가적 이념으로 서로를 언제든지 무자비하게 살해할 수 있는 북한군이지만, 보통 한 사람처럼 작은 생명체를 소중히 다루며 귀여워하달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강아지를 식당에 가라는 전임 명령에 눈물을 흘리면서 강아지를 보내전·우진 전사의 애절함은 한동안 비극적인 전쟁의 심각성에서 벗어나고 그의 인간성을 비추는 장면이다.

오경필(송강호)과 강아지를 안고 있는 정우진(신하균)

정·우진은 또 그림 실력이 뛰어나서 수첩에 그림을 그리는 습관이 있었지만 이 수첩을 소피 소령이 조사할 장면을 보면 그림이 그려지지 않은 백지를 제외한 다른 쪽은 밥알로 수첩의 뿔을 달아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마치 자신이 그린 그림을 보일 것을 막기 위한도록 한 것을 보고정·우진은 그만큼 남이 나의 그림을 보는 것을 꺼린 것으로 추정된다.그러나 과거의 회상 장면을 보면 이·수혁 병장과 남·송식 일병 만큼 주저 없이 그림을 보이면서 더 남·송 진 일병의 여자 친구를 담아 주기도 했다.수첩은 전…우진이 “그것만 그림을 좋아했다”가 아니라”그만큼 이·수혁과 남·성심을 신뢰했다”을 전하는 훌륭한 소품이다.시간이 지나고 조선 인민군이 전 전선에 배치되기 시작하면서 갈등이 심화하는 분위기가 조성됐음에도 불구하고 작별 인사를 하러 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남·형석은 처음의 이유로 정·우진의 생일을 언급한다.생일 선물로 고급 만년필과 물감을 주고 그냥 병사의 꿈을 응원하기 위해서 죽음을 무릅쓰고 군사 분계선을 넘는다.이 장면도 남·성심이 똑같이 전·우진을 신뢰하는 소중한 동생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표시하기이다.

김·그아은속의<이병의 편지>는 꼭 물어봐야 할 김·그아은속의 대표 곡으로 남자들의 송별회를 꾸민 곡 하면 떠오르는 노래, 바로”이등병의 편지”가 있다.이별의 상황을 앞두고 과거를 그리워하는 안타까움과 “지금부터 또 시작되는 젊은 날의 꿈이여 “라는 부분에서 우러나오는 미래를 향한 기대가 담긴 곡으로 유명하다.정·우진 전사의 생일과 오·부는 중사의 제대를 앞두고 긴장감이 깊어진 상황에서 이·수혁 병장과 남·성심 병장의 마지막 작별 인사를 하기 때문에 방문했을 때 북한 초소에는 이 곡이 흐르는 이별을 암시한다.그들 우정이 끝나고 그리고 전쟁이 일어나면”단 3분 이내에 전사할 최전방”에서 서로를 사격해야 하지만 그 후의 안녕을 기대하고 이 4명은 언제든지 서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주소를 교환할 선물을 주고받다.초코파이를 먹고 유쾌하게 팔 씨름을 하고 함께 삶을 되돌아보는 담배를 피우는 등 이 4명을 잇는 음악은 남북이 언어와 문화가 달라도 전쟁과 편견을 뛰어넘는 인간성을 상징하는 요소임을 나타내고 있다.

3. 촬영 시점:아이러니 카메라는 눈이다.관객은 카메라를 통해서 영화 이야기를 본다는 점에서 촬영 감독이 카메라 각도를 조작하고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북한 초소에서 마지막 작별 인사차 남·성심과 이·수혁이 북한 초소를 방문하는 장면으로 이 4명은 전쟁 중 양국의 경계 최전방에서의 추억을 함축하듯 모자까지 쓰면서 사진을 찍는다.이때 남·성심은 카메라의 구도를 흥미롭게도 불편할 것으로 바꾸고 결국 무릎을 꿇고 셔터를 누르는데 이는 벽에 걸린 김일성(김·일성)주석과 김정일(김·국방 지도자의 초상화가 배경으로 보이는 때문이다.카메라 시점은 모자까지 쓰고 활짝 웃으며 3명의 병력과 그 뒤에 걸린 북한 지도자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한국과 북한의 끝까지 놓을 수 없는 긴장감을 상징한다.눈앞에 보이는 소중한 우정이 냉혹한 현실의 그늘에서 사라지는 효과를 주기도 한다.역설적으로 너무 친해진 그들은 아직 너무 멀다.

세 병사 뒤에 보이는 초상화

<공동 경비 구역 JSA>에서 2번 등장하는 Bird’s Eye View는 같은 장면을 같은 촬영 시점에서 취급하지만, 그 문맥과 연출로 매우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영화 초반 소피 소령에게 전달된 병장 이·수혁의 진술서는 그가 일방적으로 북한 초소에 납치되면서 두명을 사살한 뒤 기적적으로 탈출하고 한국 영역에 돌아온 내용을 담고 있다.이 나레이션이 나올 때 카메라는 부상을 입어서 쓰러진 이·수혁 병장을 호위하면서 북한군을 향해서 총을 쏘는 한국 병사들을 Bird’s Eye View에서 찍는다.주로”신의 시점”이라고 불리는 이 촬영 기법은 위에서 아래를 수직으로 찍는 각도를 사용하면서 마치 훌륭한 업적을 이뤘고, 마침내 안전한 곳에 귀환하는 이·수혁의 모습을 전지 전능한 신이 위에서 내려다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이 촬영 시점은 자술서가 그를 “적들을 물리친 위인”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영화 마지막에 이·수혁 병장은 마침내 북한 초소에서 최·먼스 상위가 들어온 후에 일어난 사건의 진실을 소피 소령에게 털어놓게 된다.극도의 긴장감 속에서 남·성심과 이·수혁은 최·먼스 상위와 정·우진을 쏘도록 하고 오·부는 차분하게 이·수혁과 남·성심을 대피시킨다.공동 경비 구역에서 총성을 듣고 출동한 두 군대는 무작위로 사격을 하는데, 이때”신의 시점”이라고도 불리는 Bird’s Eye View촬영 기법은 사건의 전말이 밝혀지면서 이·수혁이 두 초소를 잇는 다리 위에 드러누워서 공허한 눈으로 그의 눈 위를 지나는 총알을 응시하는 장면에 다시 사용된다.이는 영화 초반에 그가 거짓으로 진술한 내용에서 나온 “신의 시점”컷과 대비되 완전히 다른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양국의 끝없는 갈등은 어떤 뜻이 있는지, 소중한 우정을 “모두 짜고 이러는 건 아니겠죠?”한번의 혐의 때문에 잃은 그를 위에서 바라본 카메라는 더 이상 그를 귀환하는 성직자라는 묘사하지 않는다.인간성과 국가적 갈등을 넘는 우정에 대해서 고민할 틈도 없이 양국은 무자비하게 서로를 죽일 생각으로 총탄을 퍼붓고 있다.이 모든 상황을 마치 신이 인간을 불쌍한 마음으로 바라보는 각도에서 관객은 더 감정적으로 전쟁의 비극성과 공동 경비 구역이라는 지역의 아이러니에 이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두 지역 사이 중립 자리에서 쓰러지는 이수혁4. 몽타주:괴리감 영화가 시작되면서 스위스 선임은 소피 소령이 “Here, peace is preserved by hiding the truth(여기에서는 진실을 숨김으로써 평화를 유지할 수 있어)”라고 전해라.이 대사처럼 “공동 경비 구역 JSA”는 편집을 통해서 양국의 갈등과 그리고 4명의 병사의 우정의 괴리감을 강조한다.4명의 우정을 상징하는 장면 중에는 남·성심의 관심 끌기에 북한 초소에서 햇빛을 반사하고 한국의 초소의 창문을 비추다.이는 아마 전에 이·수혁 병장이 오·부에게 선물한 담배 라이터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그 밖에도 이 4명은 지하실에 모여서 호두를 까서 먹거나 콤기노리 같은 오락에서 시간을 함께 지낸다.이 장면이 의미 있는 이유는 바로 콤기노리을 통해서 이 4명 사이에는 남북의 분절다는 갈등이 아니라 마치 아이들의 순수함만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 4명뿐 아니라, 반세기에 걸친 남북 분단, 즉”빨강”이나 ” 붉은 적”이냐의 논쟁은 개인적 원한이 아니라 국가 차원의 이념적 차이 때문이다.그것을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카메라는 한순간이라도 그런 갈등에서 벗어나고 순수하게 우정을 쌓은 4명의 어른을 멀리 비추어 당장 현실을 깨닫도록 전·우진 전사의 손을 비추다.그의 손에는 공기나 사자레석가 아니라 언제든 서로를 사살할 수 있는 총알이 5발 들어 있다.이 장면 직후, 닭 다리살 싸움과 계약처럼 어릴 때 모두가 즐긴 오락을 즐기4명의 병사들의 모습을 보면서 관객은 그 괴리감에서 크게 감정적으로 영화를 보게 된다.이런 편집 방식은 계속 이어진다.판문점에서 보초 근무를 하고 있는 천·우진 전사와 이·수혁 병장은 절대 넘으면 안 되지만 이미 넘어 버린 선을 끼고 침을 토하며 장난을 친다.이전의 엄숙한 보초 근무에서 볼 수 없었던 밝은 미소를 머금고 유쾌한 모습은 그 여운이 가시기도 전에 북한군의 모습을 하나의 나무 모형의 심장 부분을 사격하는 훈련에서 편집된다.이·수혁 병장도 오·부는 중령을 가리키고”제 생명의 은인인데”라고 하면서도 표정 하나 바꾸지 않고 능숙하게 북한군 모형의 눈과 미간을 정확히 사격한다.이 괴리감을 통해서 영화는 다시 표면적으로 보기엔 유쾌하고 두터운 우정의 이면에는 모순적 현실이 존재하는 것을 매몰차게 상기시킨다.이러한 몽타주는 그들의 은밀한 관계가 얼마나 아이러니인가, 또 발각되면 얼마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지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이런 편집 방식은 계속 이어진다. 판문점에서 보초근무를 하고 있는 정우진 전사와 이수혁 병장은 절대 넘지 말아야 할, 그러나 이미 넘어버린 선을 사이에 두고 침을 뱉으며 장난을 친다. 이전 엄숙한 보초근무에서 볼 수 없었던 밝은 미소를 지으며 유쾌한 모습은 그 여운이 사라지기 전 북한군의 모습을 한 나무 모형의 심장 부분을 사격하는 훈련으로 편집된다. 이수혁 병장도 오경필 중령을 가리키며 “내 생명의 은인인데”라면서도 표정 하나 바꾸지 않고 능숙하게 북한군 모형의 눈과 미간을 정확히 사격한다. 이 괴리감을 통해 영화는 다시 한번 표면적으로 보기에는 유쾌하고 두터운 우정의 이면에는 모순적 현실이 존재함을 차갑게 상기시킨다. 이러한 몽타주는 이들의 은밀한 관계가 얼마나 아이러니한지, 또 발각되면 얼마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지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이런 편집 방식은 계속 이어진다. 판문점에서 보초근무를 하고 있는 정우진 전사와 이수혁 병장은 절대 넘지 말아야 할, 그러나 이미 넘어버린 선을 사이에 두고 침을 뱉으며 장난을 친다. 이전 엄숙한 보초근무에서 볼 수 없었던 밝은 미소를 지으며 유쾌한 모습은 그 여운이 사라지기 전 북한군의 모습을 한 나무 모형의 심장 부분을 사격하는 훈련으로 편집된다. 이수혁 병장도 오경필 중령을 가리키며 “내 생명의 은인인데”라면서도 표정 하나 바꾸지 않고 능숙하게 북한군 모형의 눈과 미간을 정확히 사격한다. 이 괴리감을 통해 영화는 다시 한번 표면적으로 보기에는 유쾌하고 두터운 우정의 이면에는 모순적 현실이 존재함을 차갑게 상기시킨다. 이러한 몽타주는 이들의 은밀한 관계가 얼마나 아이러니한지, 또 발각되면 얼마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지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5. 결론 박·챠눅 감독의<공동 경비 구역 JSA>는 9억원을 들여서 완성한 영화로 남북 군인의 우정이라는 민감한 소재를 다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약 579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데 성공했다.이 작품은 대종상 상 최우수 작품상, 청룡상 작품상 수상을 비롯한 2019년 기준으로 한국 영화 100선에 선정된 이유는 단순히 남북 분단을 소재로 한 한국형 블록 버스터를 만든 때문이 아니다.나라를 목숨으로 지켜야 할 양국 병사들의 우정 사이에서 여전히 현존하는 긴장감을 뛰어난 연출로 표현한 박·챠눅 감독의 실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공동 경비 구역 JSA는>에는 4명의 등장 인물의 국적과 이념을 뛰어넘는 인간적 유대감과 우정을 함축적으로 상징하는 청도·우진의 수첩이나 음악 같은 여러 요소가 등장한다.그러나 전쟁이라는 분단의 현실을 망각하고 그들의 우정에 관객이 지나치게 매달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배경의 초상화를 가릴 수 있지 않는 카메라 시점과 자신의 “생명의 은인”의 형상을 한 표적을 쏘는 이·수혁에 편집되는 몽타주를 활용했다.이러한 연출 기법을 활용함으로써<공동 경비 구역 JSA>는 전쟁이 인간에 미치는 무서운 비극과 분단된 민족 사이에 존재하는 잔혹성을 멋있게 표현했던 영화가 될 수 있었다.형도 아무것도 필요 없어. 결국 우리는 적이다.출처:”DMZ생태와 한반도 평화”(동국대 북한 연구소 편, 아카 넷, 2006);공동 경비 구역-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6207)에서 다시 인용.공동 경비 구역–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6207)

error: Content is protected !!